
민선8기 유정복 인천시장이 2026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로 인한 임기 내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섰지만 3년을 앞두고 동부 광역소각장 신설 계획이 무산되며 답보 상태를 걷고 있다.
지난 10일 경기도 부천시는 인천시와 서울시까지 함께 사용하는 광역소각장을 새로 지으려던 계획을 백지화하고 자체 발생 쓰레기만 처리하는 단독시설로 조정할 것을 결정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수도권 지역은 가연성 폐기물의 매립지 직매립을 2026년 1월 1일부터 금지하고, 폐기물을 소각한 뒤 남은 재와 불가연성 소재만 매립하게 되어 있다. 지자체별로 부족한 광역소각장의 확충을 위해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태다.
상황이 이렇지만 여전히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없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부천시의 광역소각장 계획이 결국 무산되면서 동부권(부평·계양)은 새 광역소각장 신설을 위해 입지선정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소각장 절차를 밟아야 한다.
현재 인천시가 신설을 추진 중인 광역 소각장은 4곳 중 송도 소각장을 활용할 계획인 남부권(미추홀·연수구·남동)을 제외하고 북부권(서구·강화), 서부권(중·동·옹진), 동부권(부평·계양) 세 곳 모두 신설이 필요한 상태다.
남부권은 기존 송도 소각장을 활용할 계획으로 입지는 정해졌으나, 증설 없는 소각장 활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최계운 인천환경공단 이사장이 증설을 해야한다는 취지의 발언까지 한 만큼 현재의 용량보다 더 큰 소각장 용량 확충이 필요하지만 아직 구체적 계획은 불분명한 상태다.
서부권은 입지선정위원회가 구성돼 최근까지 회의를 진행했지만 입지후보지를 어디로 정할 것인지 결론을 내지 못했다.
북부권의 경우 각종 절차의 지연으로 입지선정위원회 설치조차 못하고 있어 현재 운영 중인 청라 소각장의 연장 운영 또는 증설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그러나 청라소각장은 폐쇄를 원하는 인근 주민의 반발이 심해 항의가 이어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동부권의 경우 새로운 소각장 입지 선정을 위해 절차를 밟을 예정이며, 기존 소각장 이용 계획은 그대로 진행하고 신설할 광격소각장은 타당성 검토 및 이행 세부 절차를 추진하여 수도권매립지 종료 시점까지 토대를 마련하겠다” 고 밝혔다.